컴퓨터 조립하기
컴퓨터를 업그레이드 하려고 부품을 구입하여 조립하는데 새로 구입한 메인보드가 고장난줄 모르고 엉뚱한 부품만 교체하다가 결국엔 메인보드를 교환하고 조립을 완성했는데 근 20여일이 걸렸습니다. 결국에는 일부 부품만 교체하려다가 컴을 한 대 더 조립하는 결과가 되어 버렸으며 이 과정에서 windows7 정품도 구입하였습니다. 메인보드가 고장나면 나타나는 증상
결국에는 메인보드를 교환 받아 재 조립하여 완성했는데 그 과정을 촬영하였습니다. 컴퓨터를 조립하면 여러가지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업그레이드가 매우 쉬우며 가격대비 성능이 우수합니다. 하지만 단점도 있습니다. 또한 고장나면 A/S 도 직접해야 하며 운영체제 CD 또한 별도로 구매를 해야 합니다. 이번 강좌는 컴퓨터 조립이 어렵게 느껴지는 분들을 위해 부품 구입에서 조립까지 과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주위분들이 컴퓨터 조립하면 비용이 얼마냐고 물어보는데 저는 비용이 얼마냐를 묻지 말고 돈에 맞추라고 합니다.
컴퓨터는 조금만 지나도 뒤쳐진 사양이 됩니다. 그래서 적당한 선에서 구입하지만 키보드와 마우스,파워 서플라이는 최고급으로 구입하기를 권장합니다. 위 3가지는 유행에 뒤쳐지지 않고 계속 사용할수 있기 때문입니다. ▼ 먼저 CPU 와 메인보드를 구입합니다. 구매가이드는 http://www.danawa.co.kr 를 참고하여 여유 자금에 맞춰 구입하는데 대중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즉 추천하는 부품을 사용하면 됩니다.
CPU 와 메인보드는 소켓이 맞아야 합니다.
|
▼ 또한 메인보드 사양을 보면 메모리 종류가 DDR3 인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메모리는 DDR3 를 구입해야 합니다.
그래픽 카드도 여유 자금에 맞춰 구입하며 케이스는 기존 케이스를 사용해도 되지만 새로 구입한다면 빅타워를 권장합니다. |
▼ 컴퓨터 조립에 사용한 부품(cpu 쿨러는 기재 안함)
|
▼ 부품을 구입하면 제일 먼저 봉인 여부를 살펴보아야 합니다. 봉인이 파손되었거나 개봉한 흔적이 있으면 중고 및 고장난 제품을 수리한 것이므로 지체없이 교체해야 합니다.
메인보드의 모습입니다. 아래 화면을 클릭하여 큰 화면으로 잘 살펴본 후에 강좌를 참고 하시길 바랍니다. |
▼ cpu 입니다.
앞면은 CPU 사양이 적혀 있으며 죄,우에 홈이 파여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뒷면은 중요한 곳이므로 지문이 묻지 않도록 주의 합니다. |
▼ 이제 컴퓨터 조립을 합니다.
요즘 케이스는 조립하기가 쉽게 +자 드라이버 하나만 있으면 됩니다. 조립하기 전에 정전기 방지를 위해 금속 제품을 손으로 잡아 정전기를 방전합니다.
CPU를 소켓에 삽입하여 고정합니다. CPU를 삽입하는 과정 및 구체적인 조립방법은 아래 동영상을 참고 하시면 됩니다. |
▼ CPU 를 구입하면 서멀 구리스와 같이 따라오는데 서멀구리스는 낮은 열저항과 높은 열전도율로발열체와 히트싱크간 열전달을 최상으로 유지시켜 냉각성능을 더욱 극대화 시킵니다.
CPU에 서멀 구입스를 발라줍니다.
아래 화면은 한 번 바른후 다시 뜯어서 생긴 현상입니다.
|
▼ 메모리를 장착하는 곳입니다.
우측 하단에 보면 DIMM_A1,A2 라도 적혀 있습니다. 즉 위에서 부터 순서대로 보면 B1,B2,A1,A2 이며 메모리가 한 개 일때는 A1에 ,두 개 일때는 A1,B1 에 꽃으면 됩니다. 즉 색상에 맞게 꽃으면 됩니다. |
▼ 메모리와 소켓에는 홈이 파여 있습니다.
홈에 맞춰 삽입한 다음 엄지 손가락을 이용해 꽉 누르면 딸칵 하는 소리와 함께 메모리가 장착이 됩니다. |
▼ CPU 쿨링 팬입니다.
왼쪽은 CPU 구입하면 같이 오는 쿨링팬이며 우측은 따로 구입한 cpu 쿨러입니다.
|
▼ CPU 구입시 따라오는 쿨러는 왼쪽 화면의 4개의 구멍에 고정시키면 되며
따로 구입한 쿨러는 메인보드 밑에서 긴 나사를 삽입하여 지지대를 만듭니다. 그 위에 쿨러를 장착하고 고무를 이용하여 팬을 장착합니다. |
▼ 케이스의 모습입니다.
파워 서플라이는 왼쪽 하단에 장착합니다.
파워 서플라이에는 여러가지 용도에 맞게 케이블이 있으며 메인보드의 핀 갯수와 맞으면 무조건 연결하면 됩니다. |
▼케이스에 메인보드를 고정시켜야 합니다.
케이스 구입시 따라오는 부품중에서 아래와 같이 생긴 부품을 메인보드의 고정용 구멍에 맞춰 장착합니다. |
▼메인보드를 장착한 모습입니다.
|
▼메인보드 전원 공급선이며 24핀입니다.
우측 화면과 같이 장착하기 쉽게 한쪽은 직각, 반대편은 둥글게 되어 있어 올바르게 장착하지 않으면 연결되지 않습니다. |
▼1394와 USB 도 마찬가지로 어느 한쪽이 막혀 있습니다.
잘 살펴보아 장착합니다. 물론 메인보드에는 1394 및 USB 라고 적혀 있으며 색상으로도 구분이 가능합니다. |
▼USB 와 오디오도 연결합니다.
|
▼케이스의 전원 스위치를 연결하는 곳입니다.
모두 연결할 필요는 없으며 파워와 스피커는 연결합니다.
글자가 잘 보이지 않으므로 메인보드 설명서를 참고하거나 돋보기를 이용하면 됩니다. |
▼또한 우측 화면과 같이 스위치를 연결하기 좋게 잭이 따로 있습니다
그곳에 맞게 연결합니다.
+,- 가 있는것은 +, _ 맞게 장착하는데 아래 화면과 같이 + 에는 색상이 있으므로 쉽게 구분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면 H.D.D LED 의 + 는 빨간색입니다. |
▼아래 화면과 같이 생긴 것은 각종 팬을 연결하는 것입니다.
CPU 용 팬을 연결하는 곳은 구분이 되어 있으며 그외에는 아무곳에나 연결하면 됩니다. |
▼하드는 지지대를 위해 구멍이 있으며 지지대를 구멍에 맞추어 줍니다.
|
▼또한 하드 연결을 위한 전원 및 케이블은 아래 화면과 같이 홈이 파여 구분이 되어 있습니다.
|
▼지지대를 이용하여 하드를 장작한 다음 화면 부분에 전원부 및 케이블을 연결합니다.
|
▼그래픽 카드의 모습입니다.
일부 그래픽 카드는 전원을 연결하는 곳이 있으므로 핀 갯수에 맞는 전원을 꽃으면 됩니다. |
▼그래픽 카드를 장착한 모습입니다.
|
▼이렇게 생긴 케이블이 있으면 각에 맞춰 연결합니다.
|
▼조립이 끝났습니다.
모두 연결하니 아주 복잡합니다...^^ |
▼아래 화면은 장착하지 못한 하드를 위해 전원부를 외부로 빼 놓은 화면입니다.실제 조립에서는 하지 않아도 됩니다.
|
▼케이스의 뒷부분입니다.
▼모든 작업이 완료되면 윈도우를 설치한 후에 백업을 하면 모든 것이 완료됩니다.
윈도우 설치 및 백업 방법은 아래 링크를 참고 하시고 window7 사용자를 위한 고스트 15 사용 방법은 다음 강좌에 소개합니다. |